여러분들은 이런 생각 해본적 없나요?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얼마나 클까?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인간이 우주 끝까지 갈 수 있을까? 우주 끝에는 뭐가 있을까? 정말 너무나 궁금한 이야기이지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주의 끝을 관측하거나 찾아가는 것은 인간의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하더라도
불가능 합니다. 어째서 우리는 우주 끝에 가보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태초에 이 세상에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시간,공간,물질은 물론 은하,별 조차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한 점에서 시작한 대폭발. 즉, 빅뱅이 일어납니다. 이 폭발을 기준으로 우주의 모든 것이 시작합니다. 시간이
흐르고 공간이 생기고 은하, 별, 원자 같은 물질들이 생겨났습니다. 정말 신기한 사실은 빅뱅이 일어나기 전에
우주는 전자보다도 작은 정말 작은 크기로 응축되있다가 빅뱅과 함께 우주의 반중력이 가해지면서 팽창하기
시작했다는겁니다. 그런데 우주의 팽창속도는 정말 빠릅니다. 빅뱅이 일어난지 1조×1조분의 1초가 지난
시점에서 우주팽창속도는 빛보다도 빨랐거든요. 그렇게 우주는 몇분만에 10의 50제곱배라는 엄청난
규모로 확장했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팽창하고 있고요.
팽창속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주팽창이 계속된다면 앞으로 우주는
어떻게 될까요? 만약에 우주팽창을 저지할 수 있는 사건이 우주에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금으로부터
1500억년쯤 뒤엔 밤하늘에 보이던 별은 지금보다 훨씬 더 줄어들게 됩니다.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은하수 주변에 있는 은하 99%는 관측 가능한 범위를 벗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은하들이 너무나도
빠른 속도로 우주공간에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은하에서 방출된 빛이 지구까지 도달하지 못할정도로
말입니다. 현 시점에서 관측 가능한 은하는 대략 1000억개 입니다. 그런데 1500억년 후에 이 숫자는
겨우 수천개로 줄어들게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측할 수 있는 은하는 줄어들 것 입니다.
아무튼 우주팽창 때문에 우리는 우주 끝까지 도달할 수 없습니다. 빛의 속도로 날아가는 것보다
공간팽창의 속도가 더 빠른데 이는 자연계에 통용되는 물리법칙이며 이를 거스를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주 끝에서 오고 있는 빛을 관측하지도 못하고 반대로 이쪽에서
빛의 속도로 날아간다해도 우주 끝에는 도달할 수 없는 것입니다.
공간은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한다. 이 물리적인 제약 때문에 과학계는 지구를 기준으로 반지름으로
구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범위를 관측가능한 우주라고 부릅니다. 이쯤되면 한가지 의문이 생길텐데요.
관측가능한 우주 범위는 과연 얼마나 될까요? 과학자들은 WMAP위성을 이용해서 빅뱅으로 우주가
생성된지 38만년 후에 우주의 모습을 정확히 포착해냈고 인류는 이를 토대로 우주의 나이는 대략 138억년
이란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를 통해 관측가능한 우주의 반지름은 138억년일까요? 직관적으로 봤을때는
맞는 말이지만 한가지 중요한 사실이 빠져있지요. 지금 지구에 도달하고 있는 빛은 138억년 전에
빛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우주는 138억년 전에 탄생한 직후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의 발신지는 태초보다 훨씬 먼 465억 광년으로 떨어져 버렸다고 합니다. 따라서 현재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를 중심으로 반지름, 약 465억 광년 크기의 구형태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관측가능한 우주 밖에는 뭐가 있을까요? 이 밖에 뭐가 있는지 확인하러 갈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쉽지만 자연법칙을 거스를 수 없기 때문에 우주가 종말하는 순간이 온다고
해도 확인할 수도 가볼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관측불가능한 우주 밖으로는 도대체 뭐가
있을지 또 우주는 얼마나 더 멀리 뻗어있을지 절대 알 수 없고 상상에 맡길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우주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우주의 미스터리 5가지 (0) | 2022.02.23 |
---|---|
100일 후 블랙홀 간에 충돌이 일어난다 (0) | 2022.02.18 |
스페이스X가 계획 중인 초대형 프로젝트 3가지 (0) | 2022.02.15 |
발사한지 한달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현황 (0) | 2022.01.25 |
우주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나온다 (0) | 2022.01.25 |
최근댓글